반응형
동일한 공간을 여러 개의 자료형이 공유함으로써 좀더 쉽게 데이터를 변환하여 사용하려는데 목적이 있음.
공용체를 사용하면 메모리를 절약하는 장점이 있지만 그것보다 큰 장점은 하나의 메모리를 여러 가지 자료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.
정의 형식
union 공용체_태그_이름 {
자료형 공용체_항목1;
자료형 공용체_항목2;
자료형 공용체_항목3;
};
구조체가 두 개 이상의 자료형으로 하나의 그룸으로 묶어서 사용하는 것이라면, 공용체는 항목의 자료형 중 가장 큰 자료형만큼의 메모리만을 사용.
공용체는 실제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하나이지만 그것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(자료형을 어떻게 보는냐의 해석)이 여러가지로 가능하다는 원리에서 출발한 개념입니다. 하나의 메모리를 두 개 이상의 자료형으로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.
자료형은 여러 개로 정의할 수 있지만 메모리도 하나이고 저장되는 데이터도 하나이다. 단지 자료형을 여러개로 사용할 ㅅ n있기 때문에 원하는 자료형으로 메모리를 읽으면 그 자료형에 맞는 데이터로 읽어낼 수 있다는 의미.
즉 공용체는 동일한 메모리 공간을 두 개 이상의 자료형이 사용되기 위한 방법이다.
반응형
'About 프로그래밍!!! > C언어 무따기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무따기 C언어] 구조체와 공용체를 이용한 비트 연산. (0) | 2010.06.27 |
---|---|
[무따기 C언어] 공용체의 실무응용 (0) | 2010.06.27 |
[무따기 C언어]구조체 포인터 사용. (0) | 2010.06.26 |
[무따기 C언어]함수의 파라미터로 구조체 사용하기. (0) | 2010.06.26 |
[무따기 C언어]구조체 (0) | 2010.06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