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 DIY 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거 같아 아두이노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아두이노 R3에 대한 스펙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. 능력이 어느정도 되는지 알아야 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구상할 수도 있으니까요.
아두이노는 아트메가328라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기반하고 있는 보드이며, 14디지털 인아웃풋(6채널은 PWM 가능), 6 아날로그 인풋, 16MHz 수정진동자 사용(아두이노의 심장 같은 역할), USB 연결, 파워잭, ICSP 헤더, 리셋버튼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USB에 연결하기만 하면 전원 공급 및 PC와의 통신이 가능하고 파워잭에 건전지를 연결하면 임베디드(독립사용)으로 사용가능합니다. 베터리 전원 연결시 2.1mm center-positive plug를 사용하면 됩니다. 아래그림 참조 하세요~
Summary
Microcontroller | ATmega328 |
Operating Voltage | 5V |
Input Voltage (recommended) | 7-12V |
Input Voltage (limits) | 6-20V |
Digital I/O Pins | 14 (of which 6 provide PWM output) |
Analog Input Pins | 6 |
DC Current per I/O Pin | 40 mA |
DC Current for 3.3V Pin | 50 mA |
Flash Memory | 32 KB (ATmega328) of which 0.5 KB used by bootloader |
SRAM | 2 KB (ATmega328) |
EEPROM | 1 KB (ATmega328) |
Clock Speed | 16 MHz |
Length | 68.6 mm |
Width | 53.4 mm |
Weight | 25 g |
인풋 & 아웃풋
14개의 디지털 핀들은 입출력으로 사용이 가능하며, pinMode(), digitalWrite(), anddigitalRead() 함수들과 사용이 가능합니다. 각각의 핀들은 5V로 구동이 되며 최대 40mA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. 내부에 내장된 풀업저항으로(기본적으로는 연결이 안되어있습니다.) 내부저항의 용량은 20~50K옴 입니다.
- 시리얼: 0 (RX) and 1 (TX). 수신 (RX) and 송신 (TX) TTL 시리얼 데이터. 이 핀들은 ATmega8U2 USB-to-TTL Serial chip과 연결되어 있습니다.
- 외부 인터럽트: 2 and 3. 이 핀들을 사용하여 트리거와 인터럽트를 걸 수 있다. on a low value, a rising or falling edge, or a change in value. 홈페이지에서 attachInterrupt() 함수를 참조하면 된다.
- PWM: 3, 5, 6, 9, 10, and 11. 8-bit PWM 출력을 제공 합니다. analogWrite() function 참조.
- SPI: 10 (SS), 11 (MOSI), 12 (MISO), 13 (SCK). SPI library를 사용하여 SPI 통신이 사용 가능합니다.
- LED: 13. 13번 핀에 연결된 LED 입니다. 13번 핀의 상태에 따라 꺼졌다. 켜졌다 합니다.
- AREF. Reference voltage for the analog inputs. Used with analogReference().
- Reset. Bring this line LOW to reset the microcontroller. Typically used to add a reset button to shields which block the one on the board.
전원 공급
아두이노 우노 R3의 외부전원 입력은 6~20V 까지 가능하다. 하지만 7V 밑으로 공급될 경우 5V 출력핀의 전압이 5V보다 떨어지고 불안정할 수 있다. 그리고 12V 이상일 경우에는 보드에 과열이나 손상을 줄수 있으므로 7~12V가 가장 적당하다.
메모리
아트메가 328은 32KB(0.5 KB는 부트로더)를 가지고 있다. 또한 2 KB는 SRAM 그리고 1KB는 EEPROM이다.
USB 과전류 보호
연결된 컴퓨터로 부터 500mA를 넘는 과전류 유입시 퓨즈가 자동으로 끊김으로서 보드를 보호함.
아래는 그 외에 참고하시면 도움되는 페이지를 정리하였습니다.
아두이노의 예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해놓은 사이트 여기에 나와 있는 것을 하나하나 실습을 해도 실력이 많이 늘 것 같습니다.
http://arduino.cc/en/Tutorial/HomePage
아두이노 프로그래밍 언어 및 함수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는 페이지 입니다. 프로그래밍 문법 페이지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
http://arduino.cc/en/Reference/HomePage
아두이노 보드간 스펙 비교 사이트 입니다. 만들고자 하는 상황에 맞는 보드 스펙을 검토할 때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http://arduino.cc/en/Products.Compare
'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토타이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두이노-텍트스위치를 사용하여 LED 켜기 (0) | 2016.03.23 |
---|---|
아두이노-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하여 저항 읽기 (0) | 2016.03.22 |
아두이노-옴의 법칙 (0) | 2016.03.20 |
맥 OS 에서 아두이노 시작하기 (0) | 2016.03.19 |
프로그래밍 교육과 아두이노 (0) | 2016.03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