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데이터 처리가 8비트라는 것.
클락 발생수 16,000,000Hz
1초당 클락 발생 수.
플래쉬 프로그램 메모리: 128 >>
4KB eeprom
4KB internal sram
플레쉬메모리 만번을 기록할 수 있다. 그 이상은 리드만 할 수 있다.
10bit ADC(아날로그 to 디지털) 8개 제공.
53 programmable Lines [포트 A~F(6개) 까지는 8비트 ,포트 G 5비트 ]
128이 128l 보다 속도가 빠르다.
칩의 개수는 64개 , IO로 사용 가능한 것은 53개
호환모드로 사용시 ATmega103으로 사용가능.
상태 레지스트
pi으로 시작하는 것은 read만 가능하다.
DDR레지스터는 다 0으로 초기화 되었다.
PIN 레지스터는 읽기만 가능하다. 초기값을 알 수 가 없다,
포트G는 5개만 사용가능.
FND는 16진수로 표현
반응형
'About 프로그래밍!!! > ATmega128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Tmega128]비교매치 카운터 (0) | 2010.06.17 |
---|---|
[ATmega128]0~99까지 순차적으로 숫자를 1씩 증가하면서 FND에 표시 하기 (0) | 2010.06.15 |
세그먼트 같은 숫자 들어오게 하기. (0) | 2010.06.15 |
세그먼트 켜기 원리 (0) | 2010.06.15 |
DK128 LED 켜기 (0) | 2010.06.14 |